응급처치 - 환자수송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067회 작성일 20-06-27 22:24본문
환자를 운반하는 방법은 잘못 운반시 도리어 나쁜 결과를 초래하기 때문에 응급처치나 질병 치료만큼 중요한 일이다.
따라서 운반시 중요사항은 편하게, 안전하게, 가장 적절한 방법으로 확실하게 구급 구호시설로 옮기는 것입니다.
◎ 환자를 운반하기 전에
* 필요한 응급처치를 할 것
* 들것이나 모포 등 운반에 필요한 기재를 준비할 것
* 환자를 어떠한 체위로 운반하는가를 검토할 것
* 의복을 느슨하게 하고 적절한 보온을 유지하도록 할 것
* 인원과 절차는 어떤지 점검할 것
* 운반 경로를 어떻게 할 것인지 정할것 등을 먼저 결정해야 한다.
◎ 환자 운반법 중 기재를 사용하지 않는 운반법은
* 좁은 장소
* 좁은 계단
* 운반할 기재가 없을 때
* 운반 거리가 아주 짧을 때에 이용된다.
이 방법은 환자가 불편을 느낄 수 있으므로 조심해서 옮기지 않으면 안된다.
◎ 환자운반법
혼자서 옮길 때에는 어깨를 이용하는 방법과 안아서 옮기는 방법, 업어서 옮기는 방법, 모포나 시트를 사용해 옮기는 방법이 있다.
- 어깨를 이용하는 방법
발을 다친 환자의 보행을 도와주는데 이용되나 골절시에는 이 방법을 이용해서는 안됩니다.
- 안아서 옮기는 방법
짧은 거리를 옮기는 데 적절하며 특히 젖먹이처럼 구조자보다 체중이 가벼운 환자에게 적합하지만 척추 손상이나 골절 환자에게 이 방법을 이용해서는 안됩니다.
- 업어서 옮기는 방법
비교적 먼 거리를 옮기는 데 적합하지만 의식이 없는 환자나 골절 환자에게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업는 방법으로는 먼저 환자와 나란히 누운 후 다리를 겹치고 환자의 반대쪽 팔을 잡습니다.
팔을 끌어당기면서 환자의 반대쪽으로 굴러서 환자를 구조자의 허리에 태운 후 양손과 양 다리로 바닥을 짚고 일어섭니다.
그런 후 환자의 두 손을 교차시켜서 누르거나 두 손을 환자의 두 무릎 사이로 넣어 환자의 두 손을 잡아도 좋습니다.
◎ 두 명이 옮기는 방법
골절 이외의 환자에게 주로 이용 되는데, 환자의 팔을 각자의 어깨에 걸어서 운반하는 방법, 환자를 들것으로 옮길 때 이용하는 안아 올려서 옮기는 방법, 추켜 올려서 옮기는 방법, 손을 서로 맞잡아 옮기는 방법 등이 있습니다.
◎ 추켜 옮기는 방법은
골절 이외의 환자를 짧은 거리에 옮기는 데 주로 이용됩니다.
구조자의 한 사람은 환자의 뒤쪽에서 겨드랑이 밑으로 손을 넣어 환자의 상반신을 일으키고, 그 손을 뻗쳐서 환자의 무릎 위에서 바지를 움켜잡아 환자의 두 다리를 자기 쪽으로 당기면서 양 무릎을 열게 합니다. 또 한 사람의 구조자는 환자의 두 다리 사이에 서서 무릎을 꿇고 환자의 무릎 부분을 두 팔로 낍니다. 그런 후, 한 사람의 신호에 맞춰 일어섭니다.
이 외에도 3명, 4명, 6명이 옮기는 방법,의자를 이용하는 방법등이 있습니다.
어깨를 이용하는 방법은 발을 다친 환자의 보행을 도와주는데 이용되나 골절시에는 이 방법을 이용해서는 안된다.
안아서 옮기는 방법은 짧은 거리를 옮기는데 적절하며 특히 젖먹이처럼 구조자보다 체중이 가벼운 환자에게 적합하지만 척추 손상이나 골절 환자에게 이 방법을 이용해서는 안된다.
업어서 옮기는 방법은 비교적 먼 거리를 옮기는데 적합하지만 의식이 없는 환자나 골절 환자에게는 적합하지 않는다. 업는 방법으로는 먼저 환자와 나란히 누운 후 다리를 겹치고 환자의 반대쪽 팔을 잡습니다. 팔을 끌어당기면서 환자의 반대쪽으로 굴러서 환자를 구조자의 허리에 태운 후 양손과 양 다리로 바닥을 짚고 일어선다.
그런 후 환자의 두 손을 교차시켜서 누르거나 두 손을 환자의 두 무릎 사이로 넣어 환자의 두 손을 잡아도 좋다.
두 명이 옮기는 방법에는 골절 이외의 환자에게 주로 이용되는데, 환자의 팔을 각자의 어깨에 걸어서 운반하는 방법, 환자를 들것으로 옮길 때 이용하는 안아 올려서 옮기는 방법, 추켜 올려서 옮기는 방법, 손을 서로 맞잡아 옮기는 방법 등이 있다.
추켜 옮기는 방법은 골절 이외의 환자를 짧은 거리에 옮기는 데 주로 이용된다. 구조자의 한 사람은 환자의 뒤쪽에서 겨드랑이 밑으로 손을 넣어 환자의 상반신을 일으키고, 그 손을 뻗쳐서 환자의 무릎 위에서 바지를 움켜잡아 환자의 두 다리를 자기 쪽으로 당기면서 양 무릎을 열게 한다.
또한 사람의 구조자는 환자의 두 다리 사이에 서서 무릎을 꿇고 환자의 무릎 부분을 두 팔로 낍니다. 그런 후, 한 사람의 신호에 맞춰 일어선다. 이 외에도 3명, 4명, 6명이 옮기는 방법,의자를 이용하는 방법등이 있다.
그외에 의자를 이용하는 방법 , 즉석들것 , 담요사용법 등이 있다.
따라서 운반시 중요사항은 편하게, 안전하게, 가장 적절한 방법으로 확실하게 구급 구호시설로 옮기는 것입니다.
◎ 환자를 운반하기 전에
* 필요한 응급처치를 할 것
* 들것이나 모포 등 운반에 필요한 기재를 준비할 것
* 환자를 어떠한 체위로 운반하는가를 검토할 것
* 의복을 느슨하게 하고 적절한 보온을 유지하도록 할 것
* 인원과 절차는 어떤지 점검할 것
* 운반 경로를 어떻게 할 것인지 정할것 등을 먼저 결정해야 한다.
◎ 환자 운반법 중 기재를 사용하지 않는 운반법은
* 좁은 장소
* 좁은 계단
* 운반할 기재가 없을 때
* 운반 거리가 아주 짧을 때에 이용된다.
이 방법은 환자가 불편을 느낄 수 있으므로 조심해서 옮기지 않으면 안된다.
◎ 환자운반법
혼자서 옮길 때에는 어깨를 이용하는 방법과 안아서 옮기는 방법, 업어서 옮기는 방법, 모포나 시트를 사용해 옮기는 방법이 있다.
- 어깨를 이용하는 방법
발을 다친 환자의 보행을 도와주는데 이용되나 골절시에는 이 방법을 이용해서는 안됩니다.
- 안아서 옮기는 방법
짧은 거리를 옮기는 데 적절하며 특히 젖먹이처럼 구조자보다 체중이 가벼운 환자에게 적합하지만 척추 손상이나 골절 환자에게 이 방법을 이용해서는 안됩니다.
- 업어서 옮기는 방법
비교적 먼 거리를 옮기는 데 적합하지만 의식이 없는 환자나 골절 환자에게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업는 방법으로는 먼저 환자와 나란히 누운 후 다리를 겹치고 환자의 반대쪽 팔을 잡습니다.
팔을 끌어당기면서 환자의 반대쪽으로 굴러서 환자를 구조자의 허리에 태운 후 양손과 양 다리로 바닥을 짚고 일어섭니다.
그런 후 환자의 두 손을 교차시켜서 누르거나 두 손을 환자의 두 무릎 사이로 넣어 환자의 두 손을 잡아도 좋습니다.
◎ 두 명이 옮기는 방법
골절 이외의 환자에게 주로 이용 되는데, 환자의 팔을 각자의 어깨에 걸어서 운반하는 방법, 환자를 들것으로 옮길 때 이용하는 안아 올려서 옮기는 방법, 추켜 올려서 옮기는 방법, 손을 서로 맞잡아 옮기는 방법 등이 있습니다.
◎ 추켜 옮기는 방법은
골절 이외의 환자를 짧은 거리에 옮기는 데 주로 이용됩니다.
구조자의 한 사람은 환자의 뒤쪽에서 겨드랑이 밑으로 손을 넣어 환자의 상반신을 일으키고, 그 손을 뻗쳐서 환자의 무릎 위에서 바지를 움켜잡아 환자의 두 다리를 자기 쪽으로 당기면서 양 무릎을 열게 합니다. 또 한 사람의 구조자는 환자의 두 다리 사이에 서서 무릎을 꿇고 환자의 무릎 부분을 두 팔로 낍니다. 그런 후, 한 사람의 신호에 맞춰 일어섭니다.
이 외에도 3명, 4명, 6명이 옮기는 방법,의자를 이용하는 방법등이 있습니다.
어깨를 이용하는 방법은 발을 다친 환자의 보행을 도와주는데 이용되나 골절시에는 이 방법을 이용해서는 안된다.
안아서 옮기는 방법은 짧은 거리를 옮기는데 적절하며 특히 젖먹이처럼 구조자보다 체중이 가벼운 환자에게 적합하지만 척추 손상이나 골절 환자에게 이 방법을 이용해서는 안된다.
업어서 옮기는 방법은 비교적 먼 거리를 옮기는데 적합하지만 의식이 없는 환자나 골절 환자에게는 적합하지 않는다. 업는 방법으로는 먼저 환자와 나란히 누운 후 다리를 겹치고 환자의 반대쪽 팔을 잡습니다. 팔을 끌어당기면서 환자의 반대쪽으로 굴러서 환자를 구조자의 허리에 태운 후 양손과 양 다리로 바닥을 짚고 일어선다.
그런 후 환자의 두 손을 교차시켜서 누르거나 두 손을 환자의 두 무릎 사이로 넣어 환자의 두 손을 잡아도 좋다.
두 명이 옮기는 방법에는 골절 이외의 환자에게 주로 이용되는데, 환자의 팔을 각자의 어깨에 걸어서 운반하는 방법, 환자를 들것으로 옮길 때 이용하는 안아 올려서 옮기는 방법, 추켜 올려서 옮기는 방법, 손을 서로 맞잡아 옮기는 방법 등이 있다.
추켜 옮기는 방법은 골절 이외의 환자를 짧은 거리에 옮기는 데 주로 이용된다. 구조자의 한 사람은 환자의 뒤쪽에서 겨드랑이 밑으로 손을 넣어 환자의 상반신을 일으키고, 그 손을 뻗쳐서 환자의 무릎 위에서 바지를 움켜잡아 환자의 두 다리를 자기 쪽으로 당기면서 양 무릎을 열게 한다.
또한 사람의 구조자는 환자의 두 다리 사이에 서서 무릎을 꿇고 환자의 무릎 부분을 두 팔로 낍니다. 그런 후, 한 사람의 신호에 맞춰 일어선다. 이 외에도 3명, 4명, 6명이 옮기는 방법,의자를 이용하는 방법등이 있다.
그외에 의자를 이용하는 방법 , 즉석들것 , 담요사용법 등이 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