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 데이타
 
자료실

응급처치 - 구조호흡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035회 작성일 20-06-27 22:48

본문

성인의 구조호흡
응급처치는 환자 발견 후 최초 5분내에 모든 것을 처리해야 한다. 뇌로의 산소 공급은 5분 동안 끊기면 생명이 위험하기 때문이다.
환자 발견 후 처치 : 먼저 환자의 옆에 앉는다.
의식유무 확인
(성인 - 양어깨, 유아 - 양발바닥)

호흡유무 확인
(환자가 어떤 자세를 취하였던지 얼굴 쪽으로 처치자의 얼굴을 대고 보고 듣고 느끼면서 가장 먼저 호흡을 확인한다.)


자세교정
(환자의 몸이 흐트러져 있다면 구조호흡을 할 수 있도록 몸을 안전하게 눕힌다. 엎드러진 환자를 돌릴 때는 그의 아래쪽 팔로 머리를 괴어서 보호를 하고 위쪽의 팔은 차렷 자세로 하고 몸을 일직선으로 만들어 돌린다. 이 때 처치자는 무릎을 꿇고 환자의 등 쪽에서 어깨와 골반을 잡고 허벅지로 받치면서 돌린다. 환자의 위쪽 팔은 처치자의 안쪽으로 놓는다. 환자가 어느 정도 돌아왔을 때 머리가 땅에 떨어지지 않도록 목과 머리 뒷부분을 받치고 뒤로 물러나면서 안전하게 눕힌다.
기도개방
(머리를 완전히 뒤로 젖히고 동시에 턱을 끌어올린다. 환자의 목 안쪽 을 막고 있는 혀를 끌어올려 기도가 열리게 한다. - 환자의 머리쪽에 있는 처치원의 손을 환자의 이마 위에 얹고 손바닥으로 눌러 머리를 뒤로 젖힌다. 다른손의 손가락을 환자의 아랫 쪽 턱뼈 밑에 대고 턱을 앞 으로 끌어올린다. 위, 아래의 이가 거의 맞닿을 정도까지 턱을 끌어올린 다. 이 때 환자의 입이 닫히지 않도록 엄지손가락을 사용하여 입이 벌 어지도록 한다. 턱 밑의 연한 조직을 누르게 되어 기도가 막힐 수 있으 니 이 부위가 눌리지 않도록 한다.

호흡유무 확인
(보고 듣고 느낀다. - 환자의 머리를 뒤로 젖히고 턱을 끌어올려 기도를 개방한다. 환자의 입과 코 가까이에 귀를 대고 환자의 가슴을 본다. 가슴을 오르내리는지 살펴보고, 호흡을 하는지 들어보고, 코에서 공기가 나오는지 느끼는 것을 5초간 실시한다.)

두 번 충분히 불어넣기
(환자가 호흡을 하지 않으면 곧바로 환자의 폐속으로 공기를 불어 넣어준다. - 기도를 개방시킨 환자의 이마를 누르고 엄지와 검지로 환자의 코를 부드럽게 잡아 막는다. 처치자는 자기의 입을 크게 벌려 환자의 입술보다 더 넓게 덮어 막은 후 공기가 새지 않도록 밀착시킨 후 입 속으로 공기를 불어넣는다. 불어넣을 때는 매회 1-1.5초 정도로 두 번을 충분히 불어넣는다. 공기를 불어넣으면 환자의 가슴이 올라오고 입을 떼면 내려가는지를 살펴보고, 공기가 빠져나간 후 다시 5초 동안 맥박확인과 함께 보고 듣고 느낀다.

불어넣었는데 저항을 느끼거나 공기가 들어가지 않으면 대부분 기도가 여전히 폐쇄되었거나 환자의 혀가 목의 안쪽을 막고 있기 때문이다.


혈액순환 확인
(목옆의 경동맥 확인 - 목 부위의 맥박을 짚어 심장이 박동 하는지 확인한다. 한 손으로 환자의 이마를 눌러 머리를 뒤로 젖힌 상태에서 다른 손의 검지와 중지를 울대에 놓고, 두 손가락을 처치원 쪽으로 미끌리 듯 움직여 목 옆쪽의 근육과 기관 사이의 움푹 들어간 곳에 경동맥을 찾는다. 손끝으로 부드럽게 눌러 경동맥의 박동을 5-10초간 느낀다. 엄지로 하면 처치자의 맥박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검지와 중지로 하고 처치자 쪽의 경동맥을 짚어야 한다.

연락
(맥박을 확인하고 나면 전화 연락을 할 사람에게 환자의 상태를 충분히 설 명하고 알리게 한다. 이 단계는 응급처치를 하는 동안 언제라도 이루어 질 수 있다.)




구조호흡실시
(맥박은 뛰나 호흡이 없을 경우 구조호흡을 시작한다. - 맥박과 호흡은 둘 다 없을 경우와 둘 다 있을 경우 맥박은 있으나 호흡은 없을 경우 세 가지가 있다. 기도를 개방하고 매회 1-1.5초간 불어넣기를 5초 간격으로 실시한다. 간격은 정확히 해야하기 때문에 숫자를 세도록 하고 처치자의 호흡을 들이마신 후 환자에게 불어넣고 이 때 환자의 가슴이 올라오는지 지켜본다. 불어넣기를 하는 사이에 환자의 입에서 입술을 떼고 환자의 코와 입으로 공기가 빠져나가는지 듣고 느끼면서 가슴 이 내려가는지 본다. 또한 환자가 다시 스스로 호흡을 시작하는지 주의하여 들어보아야 한다. 호흡이 약간이라도 느껴진다면 구조호흡을 그만 두어야 한다.
맥박의 재확인
(구조호흡을 1분간 (12회 정도) 실시한 후 환자의 맥박을 확인한다. 기도를 개방한 후 5-10초간 경동맥을 느낀다. 맥박이 뛰면 3-5초 간 호흡을 확인하고 호흡을 하면 계속 기도를 열어주고 호흡과 맥박을 주의 깊게 관찰한다. 호흡을 하지 않으면 계속 구조호흡을 실시하고 1분마다 맥박을 재확인(숙달된 처치자라면 2-3분마다 맥박을 확인하도록 한다. 경동맥의 맥박이 박동하지 않으면 심폐소생법을 실시한다.
어린이와 영아는 어른과 약간 다르다. 3초마다 1회씩 20회를 실시하며 몸이 작고 약하기 때문에 공기의 양을 잘 조절해서 더 주의 깊게 살핀다.
다음 상황이 될 때까지 구조호흡을
계속 실시하여야 함.



1. 호흡이 돌아왔을 때
2. 구급차나 구급요원이 도착하여 환자를 치료할 때
3. 훈련된 다른 처치원과 교대를 할 때
4. 처치원이 너무 지쳐서 구조호흡을 계속 할 수 없을 때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주소 :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동 48-3, KS빌딩 | 대표:박금실
전화 : 02-393-5111 | 팩스 : 02-312-5404
COPYRIGHTS 한국노인복지봉사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