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 데이타
 
자료실

복지-노인문제발생원인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080회 작성일 20-06-27 23:55

본문

(1) 인구의 고령화 경
향 인구학적인 관점에서 노인문제란 우선 그 국가의 인구에 있어서 노령인구의 비중 이 어느 정도의 수준에 와 있는가 하는데 있다. 인구학적으로 볼 때 인구가 높은 증가율에서 낮은 증가율로 저하되게 되면 인구의 연령별 구조에 큰 변화를 가져 오게 된다. 즉, 소산 소사형의 인구구조로 바뀌게 되면 전체 인구 중에서 노년층 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우리나라에 있어서는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70년대 중반 내지 80년대를 기점으로 증가를 보이기 시작하는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고 있는 실정이다. 즉 1960년대에 우리나라 사람들의 평균수명은 52.4세이었던 것이 1970년에는 63.3세, 1980년에는 65.9세, 1985년에는 68세로서 1960년부터 1985년 사이에 약 16세의 수명이 연장 되었으며, 2000년대에는 72.6세로 평균수명이 연장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2) 산업화·도시화로 인한 노인의 역할상실
우리나라의 산업화는 1960년대를 시작으로 고도 경제성장의 추구가 1970년대, 1980년대로 이어지면서 급격한 산업화 과정을 밟고 있다. 이와같은 산업화의 결과 로 나타난 인구의 지역간 이동은 농촌인구의 도시집중 현상을 가져왔으며, 이에따 라 우리나라의 도시화율이 1960년의 28%에서, 1970년에는 40.4%, 1980년에는 57.2%, 1985년에는 65.4%로 상승 되었다. 2000년의 경우 도시화율이 78.3%에 이를 것으로 전망 되는데 이것은 선진국 형태의 도시화율을 나타내는 것이다.

우리나의 대부분의 기업이 55세를 정년으로 규정하고 있다는 사실은 일생을 종사 해온 사람들이 아직 일할 나이에 직장으로부터 퇴직하여 사회적 역할을 반환함으 로써, 심리적인 좌절을 겪게 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산업사회에서의 이농·도시 집중 현상으로 노인을 부양하여야 할 젊은 사람들이 도시로 향하게 됨에 따라 노 인들은 농촌에 남게 되거나 혹은 할 수 없이 도시로 이전하게 되어 전통적인 사회 에 있어서의 이웃과 친구 또는 자녀들로부터 멀리 떨어져 고독과 허전함에 시달림 을 받게되는 경우가 많다. 산업화·도시화는 노인에게 전통사회에서의 권위자로부 터의 지위를 격하시켰고, 효율과 능력주의에서 밀려나와 무력하게 되었으며, 개인 주의·물질주의는 인간의 사랑과 인정에 바탕을 둔 전통적 경로 효친 사상을 감퇴 시겼다.

(3) 핵가족화 경향
우리나라 가족구조의 변화에 따라 핵가족 형태의 가구가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1985년 현재 핵가족형 가구비율은 68.8%) 여성취업률이 증가(1988년 현재 40.1%) 등으로 자녀에 의한 노인부양이 점차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다.

최근 사회구조가 변화함에 따라 젊은 세대들은 새로운 직장을 따라 거주를 옮겨야 하는 사례가 빈번해져 지역간의 이동이 활발해졌고, 또한 부부중심의 핵 가족을 구성하는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이처럼 일단 핵가족을 이룬 젊은 부부들은 자신 의 직장에서의 성취와 가정적 안정을 보다 중요시하기 때문에 부부가족 단위의 테 두리밖에 있는 노부모의 생활문제까지 염두에 두려고 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이러 한 핵가족화는 부모와 자녀간의 공간 고립을 가져와서 결국 사회와 노인간, 젊은 이와 노인세대간, 가정내의 부모와 자녀간의 사회적 및 심리적 고립과 소외라는 노인문제를 발생시킨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주소 :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동 48-3, KS빌딩 | 대표:박금실
전화 : 02-393-5111 | 팩스 : 02-312-5404
COPYRIGHTS 한국노인복지봉사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