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 데이타
 
자료실

노인학 - 정의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092회 작성일 20-06-28 00:37

본문

과학적 방법에 있어 인간을 연구하는 학문의 분야는 여러 개가 있고, 각 분야마다 인간의 특정한 면만을 전문적으로 다루고 있으나 사람이 늙어가는 과정을 연구하는 학문 ( 노인학 또는 노년학 ) 은 어느 특정한 분야에 속하기보다는 인간을 연구대상으로 하는 거의 모든 학문에 직접 간접으로 연결되어 있는 광범위한 종합과학이라 하겠다. 인간의 노령화 과정이나 노년기의 형태적 특수성 내지 문제점을 연구하는 데 있어서 생물학, 심리학, 사회학, 그리고 인류학 등등 각 분야에서 개별적으로 접근할 수 있지만 분야별의 개별적 연구방법보다는 종합적인 접근방법을 택해야 한다는데 현대의 노년학자들은 의견을 모으고 있다. 노년학은 연구대상이 다양하고 광범위해서 한마디로 정의하기 힘든 학문이지만 노년학이란 인간의 노령화 과정과 노년기의 제반 문제점을 포괄적이고 다각적인 학문이라는 점이다. 따라서 노년학자는 그의 모든 분야에서 찾을 수 있다. 즉 의사는 노인의 질병을 연구하는가 하면 생물학자는 나이가 들면서 생기는 인체의 세포조직의 변화를 연구한다. 심리학자는 노령화에서 오는 감각기관의 변화나 지능의 변화 등을 연구하고 정신분석 학자는 노년기의 정신건강 문제를 연구 조사한다. 그런가 하면 경제학자는 정년퇴직 후의 노인들의 소득 문제를 연구할 수 있고, 건축학자는 신체장애가 있는 노인들을 위한 특수 주택 구조를 연구해 낼 수 있으며 사회학자나 인류학자는 노인과 사회 및 문화와의 관계 등을 연구조사 하기도 한다.
노년학은 노년기에 접어든 사람들은 연구하고 이해하는 데에서 그치지 않고 인간의 노령화 또는 노인화하는 과정과 관련해서 생기는 제반 문제들을 그 연구의 대상으로 한다.
노년학의 특수성은 그것이 일종의 응용과학이라는데 있다 하겠다. 다시 말하자면 노년학은 광범위하고 포괄적이어서 여러 전문 분야에 걸쳐 있지만 생리학, 심리학, 사회학 또 인류학등 순수과학에서 쌓아온 과학적 지식을 응용함으로써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나아가서 사회전체의 복지에 기여하는 데에서 노년학의 특수성을 찾을 수 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주소 :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동 48-3, KS빌딩 | 대표:박금실
전화 : 02-393-5111 | 팩스 : 02-312-5404
COPYRIGHTS 한국노인복지봉사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