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 데이타
 
자료실

노인학 - 노인교육의 방법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116회 작성일 20-06-28 00:46

본문

(1) 자발성의 원리

노인교육은 강압적, 타율적으로 이루어져서는 안되며 노인들의 흥미에 입각한 자발성에 그 기초를 두어야 한다. 그들은 풍부한 기초를 두고 있기 때문에 자발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능력이 충분하며 교육방법에서는 이러한 장점을 살리도록 한다. 예를 들면 일방적인 강의는 될 수 있는대로 줄이고 노인 중심의 발표, 통론, 수강, 평가 등 자발적인 활동방식도 고려해야 한다.

(2) 경로의 원리

노인학교의 교사는 일반학교와는 그 특성이 판이하게 다르다. 일반학교에는 교사가 학생보다 나이가 많은데 노인학교는 대부분의 경우 학생이 교사보다 나이가 많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학생이 특정분야에 대한 경험도 더 많다. 그렇기 때문에 교사가 삼가야할 일도 생겨난다. 노인들은 좌절감과 소외감을 해소하기 위하여 노인학교를 찾는데 만일 여기에서 노인들이 소외당한다면 노인들의 문제는 더욱 심각해진다. 따라서 교사는 누구보다도 경로 사상에 투철한 자질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 예의 바르고, 친절하며, 겸손하고 세밀한 점까지 신경을 쓰는 경로사상이 투철한 교사가 요구된다. 이와 같은 따뜻한 경로사상이 노인들의 가슴을 울려야 교육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3) 사제동행의 원리

학습계획은 어디까지나 노인 학생들과 함께 협동적으로 계획을 세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노인들은 풍부한 경험을 가지고 있으며 많은 자원에 익숙하기 때문에 노인들과 같이 의논하여 계획을 세울 때 보다 성공적인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어떤 교과과정을 배울 것인지 견학이나 성지순례, 고적답사 등은 어디가 좋겠는지를 사전에 상의해 봄이 문자 그대로 사제동행의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4) 생활의 원리

노인대학에서 가르치는 내용이나 방법은 노인들의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되어있어야 한다. 노인들은 노후의 생활을 정신적으로 건강하고 편안하게 살기 위하여 노인교실을 찾는다. 그러기 때문에 추상적인 이론이나 학문적인 지식은 노인들이 알아 듣지도 못할 뿐 아니라 관심도 끌지 못한다. 노인들의 일상생활 속에서 나타나는 문제를 중심으로 노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노인들이 노인대학에 다님으로써 다니지 않을 때보다 확실히 낫다는 실리가 노인들에게 나타나도록 가르쳐야 할 것이다.

(5) 다양성의 원리

노인 학생에게 강의도 물론 해야하겠지만 여러 가지 활동이 다양하게 전개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 하다. 예를 들면 견학, 토론, 영화감상, 슬라이드, 발표하기 등과 같이 다양한 학습 활동이 전개될 수 있도록 계획을 세워야 할 것이다.

(6) 직관의 원리

직관이라 함은 감각을 통하여 외계 사물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을 알게되는 것을 말한다. 이때는 시청각교재를 사용해야 한다. 사진, 그림, 표본, 도표, 그래프, 슬라이드, 영화, 라디오, 텔레비젼, 비디오 등과 같은 시청각 교재는 노인교육에서 최대한도로 사용해야 한다. 이와 같은 직관의 원리에 입각하여 학습을 지도할 때 학습이 구체적으로 되어 학습의 흥미가 나타나며 학습이 인상적으로 되고 심화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주소 :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동 48-3, KS빌딩 | 대표:박금실
전화 : 02-393-5111 | 팩스 : 02-312-5404
COPYRIGHTS 한국노인복지봉사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