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 데이타
 
자료실

건강 - 후만증(등굽음)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078회 작성일 20-06-28 01:02

본문

척추 후만(kyphosis)이란 등이 정상보다 더욱 굽은 상태를 말합니다.
정상인의 척추 후만곡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커지기는 하나 그 정도는 심하지 않습니다. 이보다 더 심한 후만증이 노인 연령층에서 관찰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노인성 척추 후만증은 주로 노인성 혹은 폐경 후에 발생되는 골다공증이 원인입니다. 골다공증이 있는 경우 척추가 약해지고 가벼운 외상에 의해서도 척추가 변형되게 되며, 이러한 척추의 변형이 후만증을 일으키게 됩니다.

등이 굽는 증세와 통증과 피로감이 나타나며 치료로는 자세를 바로 잡도록 노력하며 동시에 근육 강화 운동을 합니다. 골다공증의 치료를 위해 칼슘 제제 등의 약물 치료를 할 수 있으며, 심한 동통이 있는 경우 안정 가료, 소염진통제, 보조기 착용 등을 시도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치료로도 동통이 호전되지 않고 척추 변형에 의해 척추 신경이 눌리는 신경 장애가 유발될 때에 드물게 수술 치료를 할 수 있습니다.

폐경기 후나 노인 연령층에서 점차 등이 구부정하게 되며 일상생활 중의 가벼운 충격 후에 등이 점차 굽게 됩니다.
노인성 척추 후만증의 증상으로 굽은 등으로 인한 불량한 자세 때문에 계단이나 언덕 오르기가 어렵고, 심할 경우 평지에서의 보행도 어렵게 되고 시야의 제한이 오게 됩니다.
등이 굽은 부위 혹은 척추의 다른 부분에 통증이 있을 수 있고, 짧은 거리를 보행하고도 쉽게 피로감에 빠집니다.
노인성 척추 후만증의 원인은 노화에 따른 척추의 퇴행성 변화도 원인이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폐경기 후 골다공증이나 노인성 골다공증과 이에 따른 반복되는 압박 골절입니다.

골다공증이란 뼈의 질(Bone quality)은 정상이나 뼈의 양이 감소한 경우로 두 가지로 나누어 그 원인을 생각할 수 있습니다.

우선 폐경기 후 골다공증은 50~60세의 여자에게서 발생하며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젠과 관계가 있습니다. 노인성 골다공증은 70대 이후의 남자와 여자에서 모두 생기며 연령의 증가에 따른 골내 뼈의 감소가 그 원인으로 추정됩니다.

골다공증으로 척추뼈가 약해지고 점차 뼈의 변형이 발생되어 등이 굽게 됩니다.또는 일상생활 중의 가벼운 외상에 의해 척추뼈가 주저앉는 압박 골절로 등이 굽기도 합니다.

이러한 골다공증과 노화에 따른 척추의 퇴행성 변화도 원인이지만, 등을 구부린 자세로 작업을 하는 농촌 지역의 중년 주부에게 불량한 자세가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후만증을 퇴행성 요추부 후만증(lumbar degenerative kyphosis) 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환자들은 보행을 하면서 몸통이 점차 앞으로 기울어지게 되며 잘 걷지 못하게 됩니다.
노인 연령층 혹은 폐경기 후에 점차 등이 굽는 증상이 나타날 때 노인성 척추 후만증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등이 굽는 증상은 가벼운 외상에 의해서 심해질 수 있읍니다.
일단 의심이 되면 방사선 촬영을 해서 척추 후만증을 관찰할 수 있고 척추뼈의 골다공증과 척추의 주저앉는 변형이 관찰됩니다.
골다공증을 정확히 진단하기 위해서는 컴퓨터 단층 촬영이나 이중 에너지 방사선 흡수 측정법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굽은 등에 의해 외관이 흉해지고 걷는 것이 힘들고 점차 굽는 정도가 심해짐에 따라 일상적인 보행, 계단 오르기 등 일상생활에 제한이 올 수 있고 시야의 제한이 오게 됩니다.
척추 압박 골절에 의한 후만증일 경우 외상시부터 동통이 있고 이 동통은 골절 부위가 치유됨에 따라 점차 감소합니다. 그러나 굽은 등에 의해 등 부위 근육의 피로로 인한 동통은 점차 심해지게 됩니다.
보행이 어려워짐에 따라 장시간 침상에 머물게 되고, 이로 인해 욕창, 폐렴 등의 합병증이 올 수 있습니다.
척추 압박 골절이 다발성일 경우 척추신경이 변형된 척추에 의해 눌려 신경 장애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심한 동통을 호소할 때는 소염진통제나 보조기 착용 등으로 증세의 호전을 기대할 수 있으며 간혹 칼슘 제제나 여성 호르몬 제제 등이 도움이 될 수 있으나 합병증이 있을 수 있으니 전문의의 처방이 꼭 필요합니다.
안정 가료는 동통이 심할 때는 며칠간 필요할 때도 있으나, 장기간 침상에 누워 있는 것은 골다공증을 더 악화시키므로 가능한 빠른 시간 내에 침상에서 벗어나야 합니다.
척추 변형이 지속되고 이로 인해 환자가 매우 불편해 하며, 동통이 심해 위에서 말한 비수술적인 치료로 호전되지 않으며, 다발성 압박 골절로 척추 신경이 변형된 척추에 의해 눌려 신경 장애가 나타날 경우 드물게 수술적인 치료를 할 수 있습니다.
수술적인 치료는 노인성 후만증 환자가 고령이기에 수술을 견딜 수 있는 전신 조건이 되는 환자들에게서 선택적으로 시행할 수 있습니다.
골다공증의 예방을 위해 지속적인 운동 및 균형 잡힌 영양 섭취가 필수적입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주소 :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동 48-3, KS빌딩 | 대표:박금실
전화 : 02-393-5111 | 팩스 : 02-312-5404
COPYRIGHTS 한국노인복지봉사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