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수발보장제도 도입, 국민의 94.9 % 가 찬성
페이지 정보
작성자 박경민 댓글 0건 조회 1,966회 작성일 06-01-19 10:45본문
보건복지부는 "노인수발보장제도"의 도입 찬.반, 비용부담용의 등에 대한 대국민여론조사(4차)를 실시하고, 결과를 발표하였다. 이번 조사는 동일한 주제에 대한 4번째 조사이며, 1~3차 조사는 '04년 11월~12월, '05년 6월에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국민이 내는 보험료와 정부지원금, 이용자부담을 재원으로 하는 노인수발보장제도의 도입에 대해 국민의 94.9%가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3차 조사결과(1차 93.9%, 3차 94.6%)에 비해 찬성률이 오차범위 내에서 다소 증가하였다.
현재 우리 사회의 노인 부양 문제에 대해 국민들의 81.6%가 심각하다고 느끼고 있으며, 대부분이 노인요양문제가 개인(가족) 차원이 아닌 사회적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86.0%)로 인식하였다.
노인수발보장제도를 도입할 경우, 본인이 혜택을 받지 못하더라도 비용을 부담할 용의가 있다는 응답이 73.3%이고, 특히 직접 비용을 부담하는 계층(20대~50대 등)이 77.5%로서 비부담계층 65.8%보다 높게 나타났다.
노인수발보장제도에 대해 알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28.8%가 들어 보았거나 알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71.2%는 알고 있지 못한 것으로 조사되어 앞으로 보다 구체적이고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조사 결과, 국민이 내는 보험료와 정부지원금, 이용자부담을 재원으로 하는 노인수발보장제도의 도입에 대해 국민의 94.9%가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3차 조사결과(1차 93.9%, 3차 94.6%)에 비해 찬성률이 오차범위 내에서 다소 증가하였다.
현재 우리 사회의 노인 부양 문제에 대해 국민들의 81.6%가 심각하다고 느끼고 있으며, 대부분이 노인요양문제가 개인(가족) 차원이 아닌 사회적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86.0%)로 인식하였다.
노인수발보장제도를 도입할 경우, 본인이 혜택을 받지 못하더라도 비용을 부담할 용의가 있다는 응답이 73.3%이고, 특히 직접 비용을 부담하는 계층(20대~50대 등)이 77.5%로서 비부담계층 65.8%보다 높게 나타났다.
노인수발보장제도에 대해 알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28.8%가 들어 보았거나 알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71.2%는 알고 있지 못한 것으로 조사되어 앞으로 보다 구체적이고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